명제
Posted on October 5, 2024
명제
- 명제
- 어떤 문장이나 식의 참, 거짓을 명확히 판별할 수 있을 때 그 문장이나 식을 명제라고 한다.
- 등식
-
숫자와 문자로 식을 표현하고 등호(
=
)로 식을 연결한 것을 등식이라고 한다. - 미지수
- 아직 알지 못하는 값을 미지수라고 한다.
- 항등식
- \(x\)에 어떤 숫자를 넣어도 언제나 양쪽 변의 값이 같은 식을 수학에서는 항등식이라고 부른다.
- 방정식
- \(x\)의 값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이 되는 식을 방정식이라고 한다.
- 가정, 결론
- 모든 명제는 ‘~이면 ~이다.’의 형태로 바꿀 수 있다. 그리고’~이면 ~이다.’의 형태로 나타내었을 때 ‘~이면’의 앞에 나오는 내용을 가정이라고 하고’~이다.’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을 결론이라고 한다.
- 명제 함수
- 그 값이 무엇인지 아직 정해지지 않은 문자가 들어 있고, 그 문자가 무엇인지 정해져야만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을 명제 함수라 한다.
- 증명
- 항상 옳다고 알려진 성질들을 근거로 하여 어떤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별하는 것이 증명이다.
- 정리
- 참이라고 증명된 명제들 중에서도 아주 기본이 되는 명제들을 정리라고 한다.
- 정의
- 정의는 말의 뜻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다.
- 공리
- 공리는 굳이 증명하지 않더라도 항상 참인 것들을 뜻한다.
출처
- 선생님도 놀란 초등 수학 뒤집기<명제>